국내 원화 스테이블코인 활성화와 함께 급부상 중인 코인과 프로젝트를 정리했습니다.
위믹스 달러부터 카이아, 보라까지 정책 수혜와 밀접한 프로젝트들을 소개합니다.
📌 목차 바로가기
WEMIX$: 게임+NFT에 최적화된 스테이블코인
위메이드가 주도하는 WEMIX$는 자체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활용되는 대표적인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입니다.
게임, NFT, 디파이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쓰이며 테더(USDT), USDC와의 브릿지 구축도 진행 중입니다.
페어스퀘어랩: 원화 스테이블코인 실증 주도
NH농협, 신한, 케이뱅크와 함께 국내 원화 스테이블코인 실증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, 한국정보인증이 기술적 지원을 담당합니다.
해외에서는 일본 JPYC, 싱가포르 XSGD와 연계된 Pax Project에도 참여 중입니다.
케이뱅크: 은행권 디지털 자산 인프라 확장
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해외송금 실증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, 일본 은행과 시스템 연동을 통해 글로벌 송금 결제망 확장을 추진 중입니다.
USDT·USDC: 글로벌 스테이블코인의 국내 영향력
국내 5대 거래소의 스테이블코인 거래 중 80% 이상이 테더(USDT), USDC입니다.
원화 스테이블코인 정책 도입 시 이들과의 거래쌍 및 환전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.
인프라 수혜 기업: 인증·결제·ATM까지
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 도입 확산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업들이 주목됩니다.
- 한국정보인증: 인증·보안 인프라
- 케이씨티·케이씨에스·한네트: 결제 단말기, ATM, POS 기기 등
- 우리기술투자: 블록체인·핀테크 스타트업에 대한 간접 수혜
국내 원화 상장 추천 코인 TOP 7
2025년 현재 시장성과 거래량 기준, 아래 7종의 코인이 특히 주목받고 있습니다.
코인명 | 특징 및 투자 포인트 |
---|---|
이더리움(ETH) | 디파이·NFT 중심 생태계, 높은 시총과 거래량 |
리플(XRP) | 글로벌 송금, 정책 수혜 기대, 국내 선호도 높음 |
위믹스(WEMIX) | 게임+NFT, 위믹스 달러 생태계 확대 |
페이코인(PCI) | 결제 연계, 다날핀테크 기반의 실사용성 |
Axelar(AXL) | 멀티체인 인프라, 신규 상장 코인으로 확장성 주목 |
카이아(KAIA) | 카카오+네이버 통합 생태계, Web3 전환 기대 |
보라(BORA) | 게임·NFT 중심 콘텐츠 플랫폼, 카카오게임즈 기반 |
요약 및 전망
국내 스테이블코인 정책의 변화는 단순한 규제 완화를 넘어 생태계 확대의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.
위믹스$, 페어스퀘어랩, 케이뱅크 등 국내 프로젝트와 함께 카이아, 보라 같은 Web3 기반 코인들도 동시에 주목받고 있으며, 이들과 연계된 USDT·USDC·JPYC·XSGD 등 글로벌 스테이블코인과의 상호작용도 활발해질 전망입니다.
함께 보면 좋은 글
👉 2025년 국내 스테이블코인 정책 총정리 보러가기금융위원회 정책 발표문 바로가기
한국은행 디지털 자산 리포트
by Money-craft
'가상자산, 코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원화 스테이블코인이 필요한 이유 (23) | 2025.07.05 |
---|---|
2025년 국내 스테이블코인 정책 총정리: 발행 기준부터 법안 쟁점까지 (26) | 2025.06.23 |